Skip to content

3주차 팀 회고

Sunny edited this page Nov 15, 2024 · 2 revisions
  • Liked :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
  • Lacked : 아쉬웠던 점, 부족한 점은 무엇인가?
  • Learned : 배운 점은 무엇인가?
  • Longed for : 앞으로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 Liked

김광현

  • 목표를 세울때, 금요일을 상상하면 세운것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흐름을 팀원 모두가 같이 이해한것(mediasoup)
  • 기능 단위로 작업을 진행하고, 개발 단계에서 쪼개서 개발한 것 → 합칠 때, 결국 한 기능에 대해서 팀원 모두의 이해가 필요한 부분

백지연

  • 제일 중요한 기능인 방송 송출/시청을 완성했다
  • 핵심 로직을 구현할 때 화면을 공유하며 함께 완성했다.

전희선

  • 함께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같이 야근한것
  • 핵심 기능을 한명이 도맡아서 하기 보다 페어프로그래밍 처럼 다 같이 개발한 것

한승헌

  • 짝 프로그래밍이 좋았다
    • 한명이서 그냥 한게 아니라 모두가 같이 하니까 다 이해도가 높아진듯

🤏 Lacked

김광현

  • notion 문서화 시간 → 연쇄적으로 wiki도 연동이 안됌
  • 방송 송출 기능 성공의 순간에 없었던 것

백지연

  • 문서화
  • (개인적인 아쉬움)
    • 커스텀 훅을 너무 생각없이 개발해놨다 훅에 대한 이해도가 아직 낮은것 같다
    • 공통 컴포넌트의 부재
  • 코드 리뷰 ⇒ 그냥 approved만 남김

전희선

  • 문서화 진짜 어떡해요? 개발에 들어가니 저번주 보다 더 못한 느낌..
  • wiki를 결국 또 채우지 못한것
  • 코드리뷰가 잘 안되는것 같은데 이거는 계속 같이해서 그런거 같다!

한승헌

  • 코드 리뷰. 근데 짝 프로그래밍해서 그런듯
  • PR approve가 너무 느릴때가 있음
  • 프론트에 대한 배려? API 문서 작성하는거 계속 까먹음…

✍️ Learned

김광현

  • mediasoup 흐름 완벽(?) 이해
  • 배포 환경에서 돌아가게끔 구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
    • 포트, 방화벽에 대한 예의 주시가 필요
  • docker는 고립되어있다.
  • 테스트 코드에서의 mocking vs 의존성 최소화

백지연

  • mediasoup의 흐름 이해
  • 커스텀 훅 사용
  • 배포할 때 baseDir의 중요성. 개발 모드로 할 때는 그냥 alias 설정할 때나 사용했는데 배포할 때는 여기를 기준으로 배포된다

전희선

  • 짝프로그래밍 전략 덕분에 mediasoup 흐름과 내부동작을 완벽(?)히 이해했다.
  • 포트 매핑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련된 네트워크 공부를 하며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 서버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구나

한승헌

  • mediasoup
  • 테스트 코드 작성법
  • 각자 파트 나눠서 개발하는게 협업의 전부가 아니다 → 짝프로그래밍 적극 활용

🙏 Longed for

김광현

  • 기능 단위로 팀 전체가 움직이도록 개발을 진행하는 것
    • 피어세션도 그렇고 데모때도 팀원간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팀들을 보며 우리가 잘하고있는것 같았음
  • 명세서를 swagger로 연결해야하지 않을까?
    • → 내 의견: 우리팀이 같이 소통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6주동안은 굳이? 라는 생각도 있긴함
  • 문서화 Time을 가지기 or 문서화는 숙제로 해오기
  • 목표를 세울때, 금요일을 상상하면 세운것

백지연

  • https://docusaurus.io/ 이런 서비스 이용해서 팀 블로그 운영하는 팀도 있던데, 이 정도까지는 못해도 문서화를 어떻게 잘….좀 해보자
  • 개발 일지학습 정리를 분리해서 문서화를 해보자.
  • 코드 좀 더 꼼꼼히 읽고 리뷰
  • 코어 타임 끝나기 전에 한 일 정리해보자고 했는데 잘 됐던건지 모르겠음
  • 프론트엔드 PR도 봐주세요….!

전희선

  • (피어세션에서 받은 내용) 코드리뷰 pn룰 도입을 해보는것은 어떨까!
    • P1: 꼭 반영해 주세요
    • P2: 적극적으로 고려해 주세요
    • P3: 웬만하면 반영해 주세요
    • P4: 반영해도 좋고 넘어가도 좋습니다
    • P5: 그냥 사소한 의견입니다
  • 문서화 시간을 따로 가져보자.
    • 코어타임 이후에 해올것들을 우리가 매번 정하는데, 그때 개발에 관련된 해올것 뿐만 아니라 문서화를 할 시간을 주자
  • 학습정리, 고민, 트러블슈팅 wiki 태그 달아보자
  • 아니면 우리가 뚜렷한 역할분리를 안했는데 하는것도 좋을것 같다.
    • 노션 담당
    • wiki 담당
    • git project backlog 관리 담당..등
    • 근데 이거는 한명에게 태스크가 부담될까봐 좀 꺼려지기는 함!

한승헌

  • 문서화를 어떻게 하지? 그냥 개발 빨리 하고 나중에 문서화 할까요?
  • PR 확인 좀만 더 빨리 하기?

🤟정리

  • 문서화
    • 회의록 : 조금 더 신경을 써야할필요
    • 데일리스크럼, 팀회고, 마스터클래스, 멘토링 기록, 고민 : 다같이 하는 것
      • 시간을 정한다, 숙제
    • 학습정리, 고민, 트러블슈팅 : 개인적
      • 룰 : 주에 한 문서, 팀끼리 잔소리 하기
      • 트러블슈팅 :
    • 학습정리, 고민, 트러블슈팅 필터링 반영
  • 코드리뷰
  • 개발 방식
  • 명세서

👥 팀 강점

🧑‍💻 개발 일지

📌 ALL

📌 FE

📌 BE

💥 트러블 슈팅

📌 FE

📌 BE

🤔 고민

📚 학습 정리

📌 김광현

📌 백지연

📌 전희선

📌 한승헌

🤝 회의록

🗒️ 데일리 스크럼

💬 팀 회고


👨‍👩‍👧‍👦 소개

🌱 문화

🔨 기술 스택

⚙️ 서비스 아키텍쳐

🚧 CI/CD

🌊 Flow

💭 6주를 보내면서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