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RNN 기반 안저이미지 웹어플리케이션 개발 (개인)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sohyunwriter/grad-project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16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Graduation Project (개인 프로젝트)

RNN 기반 안저이미지 웹어플리케이션 개발

해당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접근한 방식은 다음에 있으며, 이 부분에서 이 프로젝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 image classification에 RNN 모델 적용. MNIST dataset에 적용돼 95%의 성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를 보고, 안저이미지에도 적용해봤다.
  2. 새로운 데이터셋 및 새로운 모델 적용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FLASK 모듈을 사용해 imagenet dataset까지 적용해본 선행연구는 있지만 아직 안저이미지를 RNN으로 모델링해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본 사례는 없다.
  3. 프로젝트를 통한 개인적인 성장

📄 1. System Architecture

Untitled Diagram

5 multi-class로 구성된 Eye disease dataset을 LSTM 기반 모델로 tranining을 시킨 후, 이 모델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 Keras 모델을 Flask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REST API로 배포했다. 이를 통해 USER가 새로운 사진을 upload하면 해당 사진을 predict할 수 있다.

📄 2. Dataset

KAGGLE DATASET - diabetic-retinopathy-resized을 사용했으며, 해당 데이터셋은 총 35,126장이며, 5 multi-class로 구성되어 있다. 1024*1024로 맞춰있는 resized_train과 resized_train의 noise를 제거한 resized_train_cropped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resized_train_cropped를 이용했다.
히스토그램 안저

https://www.kaggle.com/tanlikesmath/diabetic-retinopathy-resized

📄 3. RNN MODELING

가장 기저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그러나 layer를 더 쌓거나 image size를 더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향상이 가능해보인다.
논문 RNN 모델

📄 4. Web Application

-새로운 이미지를 업로드해서 처리할 수 있음
NEW PREDICT

-해당 이미지 예측 결과를 보여줌
예측모델

About

RNN 기반 안저이미지 웹어플리케이션 개발 (개인)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