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43 lines (24 loc) · 3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43 lines (24 loc) · 3 KB

summer-team-project

2018년 성균관대-과기대-한성대 융합기초프로젝트

팀 소개

  • 팀명 : 여름따기
  • 팀장 : 이상훈
  • 팀원 : 임소현, 황시정, 배선유, 최수현
  • 프로젝트 진행 기간 : 2018.07~08

프로젝트 소개

  1. 주제 : 종로구 노후주택 붕괴방지시스템 개발

  2. 문제 발굴 및 정의

2018년 융합기초프로젝트의 주제는 '행복한 종로구 만들기'였다. 이를 위해 우리 팀은 문제를 선정해야되는데, 종로구의 모든 동을 직접 걸어다니며, 종로구에 숨은 문제를 찾아냈다. 북촌한옥마을 사생활 문제 등 대중적으로 이미 관심이 집중된 문제들도 있었지만, 우리는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지 않았지만 해결해야하는 꼭 필요한 문제를 발굴하는데 초점을 뒀다.

지역을 현장 조사하면서, 종로구에 재개발이 계속 지연되어 붕괴 위험에 살고 있는 노후주택 주민들을 만나게 됐다. 주무시다가 집 천장이 무너져 내린 경우도 있었다. 이 문제를 대학생의 시점에서 해결해보고 싶어, 해당 문제를 주제로 삼아 '종로구 노후주택 붕괴방지시스템'을 개발해봤다. 어떻게 하면 붕괴위험의 집들이 빠르게 관리를 받을 수 있을까?

  1. 해결책
  • sol 1) 붕괴방지센서 : 진동센서 및 기울기 센서 이용하여 붕괴사전징후 포착 -> led로 위험 알림(2중 경고 방식) -> 관련기관에 신고 접수

  • sol 2) 괘종시계 : 주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고양하기 위해, 만든 캠페인 차원의 해결책

결과

  • 최우수상 수상 / 문제의 참신성, end-to-end solution 부분, 당일 발표력에 있어 칭찬을 받았다.

(첨부) 파일 소개

  1. test.c : sol1에 대한 아두이노 파일

  2. ideabook.pdf :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가는 과정이 담긴 파일

p.s. 1년 후 지금 다시 돌아보며 - 프로젝트 소감 1년 후 지금 이 프로젝트를 보면서 느낀 건 우리의 프로젝트가 현실화되기까지는 힘들다는 거다. 당시에는 직접 현장을 다니며 문제를 발굴하고, 또 그 문데를 해결하고, 밤 새서 해커톤을 하는 것 자체가 값진 경험이었다.

하지만 iot의 경우, 어떤 센서를 얼마나, 어디 설치해야되는지가 중요하다. 많은 iot 관련 프로젝트들이 프로토타입에서 끝치고, 현실화/상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것도 이래서인 듯 싶다. 간이 프로젝트에서는 작동할지 몰라도, 실현될 때는 비용, 센서의 종류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프로젝트는 이 부분까지 고려하지는 못했다. 어쩌면 붕괴위험의 노후주택을 해결하는 방식은, 비용 등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보면 iot가 아니고 다른 방식이어야할 듯 싶다. 기회가 된다면 다른 솔루션에 대해 생각해봐야겠다.

-작성자 : 임소현([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