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381c3193c4fb9c78078e5433a26293520f1280db Mon Sep 17 00:00:00 2001 From: rlacksals96 Date: Mon, 4 Oct 2021 19:35:10 +0900 Subject: [PATCH] add:2TIL & cs study article --- README.md | 41 ++++++++++++++++++++++------------------- 1 file changed, 22 insertions(+), 19 deletions(-) diff --git a/README.md b/README.md index fe7ce57..b2f03ee 100644 --- a/README.md +++ b/README.md @@ -22,27 +22,30 @@ | 210817 | day11. 추상화 | 선언형 프로그래밍 방식에서의 추상화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day-11.-%EC%84%A0%EC%96%B8%EC%A0%81-%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EA%B3%BC-JS) | | 210820 | day14. 모듈과 비동기 | 모듈 형태의 프로그래밍 방식과 비동기 함수 구현 방법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day14.-%EB%AA%A8%EB%93%88%EA%B3%BC-%EB%B9%84%EB%8F%99%EA%B8%B0) | | 210827 | week4. TIL | 비동기통신 && API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week-4) | -|210830|Notion Clone Project day1| 프로젝트 설계|[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1%EC%9D%BC%EC%B0%A8)| -|210831|Notion Clone Project day2| 프로젝트 구현|[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2%EC%9D%BC%EC%B0%A8)| -|210902|Notion Clone Project day4| 프로젝트 (추가)구현, 꾸미기|[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4%EC%9D%BC%EC%B0%A8)| -|210903|Notion Clone Project day5(마무리)| 프로젝트 마무리, README, PR작성,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5%EC%9D%BC%EC%B0%A8)| -|210906|CSS - Float, Flex, Grid| CSS의 레이아웃 관련 속성에 대한 개념|[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CSS-Float-Flex-Grid)| -|210909|Debounce| Debounce 기법에 대한 개념과 사용하는 이유|[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day-30.-Debounce)| -|210910|App과 main을 분리하는 이유|JS 프로젝트시 App.js와 main.js를 나누는 이유에 대한 고찰과 실제 이유|[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APP%EA%B3%BC-Main%EC%9D%84-%EB%B6%84%EB%A6%AC%ED%95%98%EB%8A%94-%EC%9D%B4%EC%9C%A0)| -|210914|CSS - Transform| CSS의 애니메이션 속성 transform에 대한 개념|[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CSS-Transform)| -|210915|CSS - Flex vs Grid|flex, grid의 차이와 활용되는 예시|[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Flex-vs-Grid)| +| 210830 | Notion Clone Project day1 | 프로젝트 설계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1%EC%9D%BC%EC%B0%A8) | +| 210831 | Notion Clone Project day2 | 프로젝트 구현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2%EC%9D%BC%EC%B0%A8) | +| 210902 | Notion Clone Project day4 | 프로젝트 (추가)구현, 꾸미기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4%EC%9D%BC%EC%B0%A8) | +| 210903 | Notion Clone Project day5(마무리) | 프로젝트 마무리, README, PR작성,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Notion-Clone-Project-5%EC%9D%BC%EC%B0%A8) | +| 210906 | CSS - Float, Flex, Grid | CSS의 레이아웃 관련 속성에 대한 개념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CSS-Float-Flex-Grid) | +| 210909 | Debounce | Debounce 기법에 대한 개념과 사용하는 이유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day-30.-Debounce) | +| 210910 | App과 main을 분리하는 이유 | JS 프로젝트시 App.js와 main.js를 나누는 이유에 대한 고찰과 실제 이유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APP%EA%B3%BC-Main%EC%9D%84-%EB%B6%84%EB%A6%AC%ED%95%98%EB%8A%94-%EC%9D%B4%EC%9C%A0) | +| 210914 | CSS - Transform | CSS의 애니메이션 속성 transform에 대한 개념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CSS-Transform) | +| 210915 | CSS - Flex vs Grid | flex, grid의 차이와 활용되는 예시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Flex-vs-Grid) | +| 211001 | 유튜브 Clone & 네이버 Clone | 유튜브, 네이버 메인페이지 클론 과정 및 소감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ED%94%84%EB%A1%9C%EC%A0%9D%ED%8A%B8-%EC%9C%A0%ED%8A%9C%EB%B8%8C-Clone-%EB%84%A4%EC%9D%B4%EB%B2%84-Clone) | +| 211004 | Vue.js의 시작 | vue.js를 시작하게된 소감과 향후 계획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TIL-Vue.js%EC%9D%98-%EC%8B%9C%EC%9E%91) | +## ✍Article✍ +| 번호 | 날짜 | 제목 | 설명 | 링크 | +| ---- | ------ | -------------------------- | ------------------------------------------------------------------------------------------------------------- | --------------------------------------------------------------------------------------------------------- | +| 1 | 210818 | Javacsript 변수와 Hoisting | javascript의 변수 선언방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호이스팅 기능의 변화와 특징을 비교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Article-Javascript-%EB%B3%80%EC%88%98%EC%99%80-Hoisting) | +| 2 | 210825 | Javascript this | 자바스크립트만 가지고 있는 This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정리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CS-Javascript-This) | +| 3 | 210918 | 3way handshake | TCP, UDP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TCP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법인 3 way handshake에 대해 소개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EB%84%A4%ED%8A%B8%EC%9B%8C%ED%81%AC-TCPUDP%EC%99%80-3way-handshake) | +| 4 | 211003 | HTTPS와 SSL | https에서 사용되는 SSL에 대한 개념 및 작동 원리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CS-HTTPS%EC%99%80-SSL) | -## ✍Article✍ -|번호| 날짜 | 제목 | 설명 | 링크| -|--|---|---|---|--| -|1|210818|Javacsript 변수와 Hoisting|javascript의 변수 선언방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호이스팅 기능의 변화와 특징을 비교|[링크](https://velog.io/@rlacksals96/Article-Javascript-%EB%B3%80%EC%88%98%EC%99%80-Hoisting)| -|2|210825|Javascript this| 자바스크립트만 가지고 있는 This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정리|[링크](https://velog.io/@rlacksals96/CS-Javascript-This) -|3|210918|3way handshake|TCP, UDP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TCP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법인 3 way handshake에 대해 소개|[링크](https://velog.io/@rlacksals96/%EB%84%A4%ED%8A%B8%EC%9B%8C%ED%81%AC-TCPUDP%EC%99%80-3way-handshake)| ## 🖋회고록🖋 -|번호| 날짜 | 제목 | 설명 | 링크| -|--|---|---|---|--| -|1|210820|8월 회고|KDT 수료과정 3주차에 진행하는 회고|[링크](https://velog.io/@rlacksals96/8%EC%9B%94-%ED%9A%8C%EA%B3%A0)| -|2|210828| 브랜드키트 리뷰|프로그래머스 브랜드 키트 언박싱 및 리뷰|[링크](https://velog.io/@rlacksals96/%EB%A6%AC%EB%B7%B0-%ED%94%84%EB%A1%9C%EA%B7%B8%EB%9E%98%EB%A8%B8%EC%8A%A4-%ED%82%A4%ED%8A%B8) +| 번호 | 날짜 | 제목 | 설명 | 링크 | +| ---- | ------ | --------------- | --------------------------------------- | ---------------------------------------------------------------------------------------------------------------------------------- | +| 1 | 210820 | 8월 회고 | KDT 수료과정 3주차에 진행하는 회고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8%EC%9B%94-%ED%9A%8C%EA%B3%A0) | +| 2 | 210828 | 브랜드키트 리뷰 | 프로그래머스 브랜드 키트 언박싱 및 리뷰 | [링크](https://velog.io/@rlacksals96/%EB%A6%AC%EB%B7%B0-%ED%94%84%EB%A1%9C%EA%B7%B8%EB%9E%98%EB%A8%B8%EC%8A%A4-%ED%82%A4%ED%8A%B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