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운영진의 의무 ( 작업중 ) #9

Open
darjeeling opened this issue Nov 25, 2016 · 9 comments
Open

운영진의 의무 ( 작업중 ) #9

darjeeling opened this issue Nov 25, 2016 · 9 comments

Comments

@darjeeling
Copy link
Owner

  •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지 않는다.
  • Python Korea 운영진 명칭은 파이썬 행사 및 관련 행사 내에서만 사용한다.
@devxoul
Copy link

devxoul commented Jan 3, 2017

Python Korea 운영진 명칭은 파이썬 행사 및 관련 행사 내에서만 사용한다.

조항의 배경이 궁금합니다.

@darjeeling
Copy link
Owner Author

@devxoul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지 않는다의 강제성을 위해서입니다. 명성도 부가이득중의 하나입니다

@hunkim
Copy link

hunkim commented Jan 3, 2017

기장 중요한것은 Python Korea의 목적이 무엇인지 정의되면 그 목적 (예를 들면 Python의 정보 공유와 자유로운 소통)을 이룰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닐까 봅니다.

@hunkim
Copy link

hunkim commented Jan 3, 2017

@darjeeling darjeeling 명성까지도 개인적인 이득이라 본다면 이득의 범위가 매우 넓어질듯 하니다. 어떤 운영진은 운영하는 것이 재미 있어서 한다면 이 재미를 얻는 것도 개인의 이득이라 볼수도 있기때문입니다.

제 생각에는 조금더 명확하게

운영진은 Python Korea를 이용하여 어떤 직/간접적인 금전/물질적 이득을 취하지 않는다. 금전/물질적 이득을 취한것이 알려질 경우 이득*5배를 Python Korea에 기부하고 즉시 운영진에서 물러난다

등의 조항이 있으면 좋을듯 합니다.

@darjeeling
Copy link
Owner Author

darjeeling commented Jan 3, 2017

@hunkim

더 명확한것이 좋겠네요.

물론 목적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경험때문에 위의 사항을 좀 더 명확하게 해서 강제하려고 합니다.
기존에 한국에서 존재했던 많은 커뮤니티와 조직들이 어떻게 흥망성쇄를 해왔나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로 얻은 결론은 운영진과 리더의 개인적인 이득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커뮤니티 운영과 개인의 실력 혹은 업무성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성과와 명성을 착각하기 쉬운 편입니다. 회사에서 성과와 상관없이 승진해서 이사가 되거나 그 명성으로 창업을 해서 사장이 되거나 하는 일은 지금도 종종 있는 일입니다. 그러한 일이 있게되면 서로 이득을 얻고 싶어하고 그런 분들이 운영진을 하게되면 커뮤니티는 살아남을수 없게 된다고 생각됩니다. 2000년초에 많았던 리눅스 커뮤니티중에 살아남은것이 얼마나 있는지를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재미는 개인적인 이득이라고 보기엔 좀 힘들지 않을까요?

금전관련은 현재는 저밖에 없기떄문에 좀 애매한 부분이 있네요. 배상의 책임은 회사나 법적인 인격체가 아니기때문에 무의미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devxoul
Copy link

devxoul commented Jan 3, 2017

@darjeeling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것에 대한 상상이 잘 가지 않습니다. 혹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hunkim
Copy link

hunkim commented Jan 3, 2017

@darjeeling 한가지 예로 운영진에게 후원하고, 상품광고나 헤드헌트들의 글을 대신 올려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darjeeling
Copy link
Owner Author

@devxoul 예를 들어서 운영진이기 때문에 제품이나 서비스등의 사용권 받아서 개인적으로 사용한다던가 하는 등의 사례가 있겠죠. 출판사의 경우도 책을 주기도 하구요. 그리고 커뮤니티의 규모가 커지면 그걸로 정부에서 하는 사업의 지원을 받을수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커뮤니티를 언급하는건 곤란할듯하고 찾아보시면 그러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사람만 모이면 뭐든 할수 있기 때문에 해당 커뮤니티의 컨텐츠를 좋아서 하는게 아니라 그런것을 노리고 여러개의 커뮤니티를 만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컴퓨터 관련 커뮤니티만이 아니라 네이버까페등의 커뮤니티에서도 그런사례는 왕왕 있죠. 공동구매를 하고 커미션을 챙긴다던가..

@devxoul
Copy link

devxoul commented Jan 4, 2017

그룹이 운영진의 사익을 위해 운영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겠군요. 상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