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하세요~! 이번주 week 2 문제 중 Tree와 DP Medium 문제 풀이를 떠올리는게 쉽지가 않네요. 관련 메시지 링크: https://discord.com/channels/775115965964222492/1229860988170403901/1276178989307658397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Replies: 2 comments 2 replies
-
|
넵 이렇게 공부하시다가 잘 모르겠는 유형을 만났을 땐, 말씀하신 대로 비슷한 유형의 쉬운 문제들을 더 접해보는게 도움이 될 거 같아요 :D 다만 노파심에 말씀드리자면, 평소의 공부 방법 자체를 많은 경우, 문제는 제 생각에 문제를 푸는 단계는 아래와 같은데요, 그래서 평소의 공부 방법은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제목에 "ree"는 뭔가요? "Tree"를 의미하신듯?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넵 이렇게 공부하시다가 잘 모르겠는 유형을 만났을 땐, 말씀하신 대로 비슷한 유형의 쉬운 문제들을 더 접해보는게 도움이 될 거 같아요 :D
다만 노파심에 말씀드리자면, 평소의 공부 방법 자체를
카테고리 하나씩 골라서 쭉 풀고 다른 카테고리 쭉 풀기<- 이건 비추입니다많은 경우, 문제는
어떤 알고리즘을 써라, 어떤 자료구조를 써라라고 명시적으로 알려주지 않습니다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를 추상화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제 생각에 문제를 푸는 단계는 아래와 같은데요,
문제를 추상화 - 적절한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적용 - (최적화)특정 카테고리만 골라서 주욱 풀다보면
문제를 추상화하는 능력을 기르기 힘듭니다 (저와 제 주변에서 경험한 바에 의하면요)그래서 평소의 공부 방법은
자신의 실력에 맞는 다양한 문제를 풀기+모르는 거 나오면 그 때 그 때 공부하기를 추천드립니다자신의 실력에 맞는 다양한 문제를 풀기를 어떻게 할 지 모르시겠다면 아래 방법들 추천드립니다: